초고속인터넷 최상위 ‘옛말’…한국 평균속도 세계 34위

4

초고속인터넷 최상위 ‘옛말’…한국 평균속도 세계 34위(종합) | 연합뉴스 

“최고화질 영화 다운로드에 1위국보다 1.87배 더 걸려”

(생략)

 

3일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스피드 테스트’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우리나라의 초고속인터넷 평균속도는 다운로드 기준 171.12Mbps로 34위로 집계됐다.

2019년 2위에서 2020년 4위, 2021년 7위로 내려온 뒤 큰 폭으로 순위가 하락한 것이다.

순위 하락은 최근 몇 개월 사이 가파르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2022년 국가지능정보화 백서’를 발간하면서 지난해 8월 스피드 테스트의 조사 결과를 인용한 것에 따르면 우리나라 초고속인터넷 속도는 210.72Mbps로 세계 19위였다.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초고속인터넷 다운로드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는 모나코(320.08Mbps)였고 싱가포르(295.78Mbps)가 뒤를 이었다.

다만 두 나라가 인구와 면적 규모가 작은 도시국가인 점을 고려하면, 인구가 2천만 명에 육박하고 면적도 넓은 칠레(291.62Mbps)가 일정 규모 이상 국가 가운데 평균속도가 가장 빨랐다.

10위권 국가 가운데 소규모 국가를 제외하면 중국이 276.10Mbps로 6위, 프랑스가 272.94Mbps로 7위에 올랐다.

(생략)

업계에서는 평균속도 순위는 낮아졌지만 우리나라 이용자들이 느끼는 불편이 커진 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유튜브 등에서 1080p 동영상을 무리 없이 시청하려면 5Mbps, 고화질의 UHD방송을 보려면 30Mbps 속도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가상현실 등 초고속·초저지연 전송이 필요한 콘텐츠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향후 인터넷 속도 차이에 따른 국가 간 콘텐츠 체감 격차가 뚜렷해질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지난해 11월 조사결과를 토대로 보면 유튜브에서 최고 화질(8K·60프레임 기준) 2시간 분량의 영화를 다운로드하는 데 모나코는 평균 1.87시간, 한국은 3.5시간이 각각 걸린다는 계산이다.

(생략)

초고속인터넷 강국?…한국, 평균속도 세계 34위로 추락 – 노컷뉴스 

한국의 초고속인터넷 속도는 2019년 2위에서 2020년 4위, 2021년 7위로 내려온 뒤 지난해 더 큰 폭으로 떨어졌다. 지난해 3월까지만 해도 8위였는데 8월 16위, 9월 19위, 10월 26위로 가파르게 하락했다.

(생략)

다만 한국은 모바일인터넷 평균속도에서는 245.58Mbps로 3위를 차지했다. 1년 전인 2021년 11월에 비해 한 단계 하락했다.

1위는 아랍에미리트(UAE, 323.10Mbps)였고, 2위는 카타르(310.17Mbps)였다. UAE는 수년째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韓 초고속인터넷 평균 속도, 세계 2→34위로 급락 – ZDNet korea 

평균 속도 171.12Mbps…모바일 속도는 상위권 지켜

(생략)

세계 평균 초고속 인터넷 다운로드 속도는 148.48Mbp, 모바일 속도는 87.36Mbp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기준 초고속 인터넷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는 모나코였다. 모나코의 초고속 인터넷 평균 속도는 다운로드 기준 320.08Mbps였다. 싱가포르의 초고속 인터넷 평균 속도는 295.78Mbps로 2위에 올랐다. 

(생략)

한국 인터넷 속도 3년 새 34위…윤석열 정부 ‘디지털 전환’ 잘될까 : 한겨레 

스피드테스트 조사…3개월 새 40Mbps 하락

모바일 인터넷 속도도 1년 새 2위→3위로

통신사 ‘탈통신’ 외치더니…정부도 방관

(생략)

업계에선 우리나라 인터넷 속도와 순위가 떨어진 이유에 대해 “인터넷 통신망을 먼저 구축하면서 품질이 열악한 동축혼합망 등을 썼고, 후발국들은 이보다 빠른 속도를 지원하는 광케이블을 구축한 영향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통신사들이 탈통신 전략을 펴며 통신망 고도화 투자를 소홀히하고, 정부 역시 이를 방치한 결과라는 지적도 나온다. 초기에는 어쩔 수 없이 동축혼합망을 썼더라도, 이후 기술 흐름에 따라 통신망을 광케이블로 대체하는 등 고도화해야 했다는 것이다.

통신 3사의 최근 4년치 영업이익과 설비투자액(CAPEX) 추이를 보면, 영업이익은 급증한 데 비해 설비투자액은 줄어들었다. 5세대(5G) 이동통신 설비 투자분을 빼면, 이른바 백본으로 불리는 유선통신 구간 설비투자액은 더 쪼그라든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2012년 엘티이(LTE), 2019년 5세대 이동통신 등 새로운 통신망이 들어오는 시기에 대규모 투자가 주로 이뤄져 이외 기간에는 투자 금액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정부도 사실상 이를 방관해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통신사들 투자 규모는) 신규 비즈니스 모델이 출시될 때 늘어났다가 안정화되면 줄어드는 경향이 있어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국내 통신사들의 경우 (유선보다도) 무선 광케이블 등 위주로 투자를 활발하게 하고 있어 무선 서비스 품질이 비교적 뛰어나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 설명과 달리, 우리나라는 무선 인터넷에서도 밀리고 있다. 지난해 11월 기준 우리나라 모바일 인터넷 평균 속도는 245.58Mbps로 비교 대상 국가 중 3위를 기록했다. 1년 전인 2021년 11월 2위에서 한 단계 떨어졌다. 지난해 11월 기준 모바일 인터넷 속도가 가장 빠른 국가는 아랍에미리트연합(UAE)로 323.10Mbps였다. 이어 카타르가 310.17Mbps로 2위를 차지했다.


Speedtest Global Index – Internet Speed around the world – Speedtest Global Index  

광고3